본문 바로가기
비로소 문화 기획/문화기획과 인문학

공대여자, 구조주의 레비-스트로스가 궁금해요.

by feelosophy 2015. 4. 22.
반응형

공대여자, 구조주의 레비-스트로스가 궁금해요.

 

 

인문학에 빠진 공대여자, 구조주의 (3) 구조주의로 문화를 읽기, 레비스트로스에 대해 알아볼까.

 

 레비스트로스는 문화인류학자입니다. 그래서 문화 연구를 공부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인물이 레비스트로스인 셈이죠. 그는 소쉬르의 언어를 들여다보던 관점을 문화로 확장하고 체계를 이루는 각각의 요소들의 가치보다 그 것들이 어떻게 서로 결합하는 가를 중요하게 생각한 구조주의학자입니다.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 연구에서 주로 이야기 되는 것은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근친상간의 금지를 이유로 친족의 범위를 정하게 되었고 이러한 씨족이나 가족 간의 여성의 교환이 이뤄졌다는 내용으로 커뮤니케이션의 구조를 다룹니다. 다른 하나는 신화에 대한 구조적 연구를 통해 신화의 요소들이 결합하는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진다는 내용입니다. 

 

 전자는 언어학을 기점으로 문화로 확장한 이원론이라는 점에 주목할 수 있습니다. 각 지역마다 다른 언어에서 비음이 있는지 없는지, 탁음인지 아닌지, 성조가 있는 지 없는 지 등의 이항대립의 조합을 통해 다른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 바로 음운론입니다. (세계의 어떤 음소 체계라도 12비트로 표현할 수 있다고 하네요.) 그는 이 발상으로 인류의 모든 제도에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였고 각 친족과 민족의 문화를 이러한 음운론을 기반으로 연구하게 됩니다.

 

 후자는 신화에 관한 것인데요. 스토리텔링, 문화 원형 연구에서 들어봄직한 부분입니다. 음운론에서처럼 신화를 구성하는 요소를 신화소라고 하는데, 이러한 신화소들을 이항대립으로 두고 신화적 서사틀에서 중재하고 융합하고자 하였습니다. 즉, 신화는 모순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를테면 "인류가 항상 자동적 산물이다"와 "인간은 실제로 남자와 여자의 결합에서 태어난다" 사이의 모순의 결과물이라는 것이고 이러한 모순은 화해될 수 없는 것을 화해시키려는 지속적인 시도로 기능한다는 것입니다.

 

 신화연구는 단순히 고리타분한 옛날 이야기가 아닌, 우리 문화 속에 담긴 의미를 찾기 위해 과거로부터 전해진 메시지가 아닐까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의 문화를 읽기 위해 신화가 중요한 이유입니다 .

 

문화기획자 리타의 feelosophy

문화기획, 전시기획, 문화마케팅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