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장효진의 문화기획182 [책] 그림책 '눈', 지금 여기 우리 모두가 주인공이야! 내 학위 논문이 VR 가상현실이다보니 공간미디어, 사용자 주도적 스토리텔링 등에 관한 관심이 많다. VR은 사용자가 보고 싶은 것, 상호작용하고 싶은 것을 선택하고 반응하므로 스토리텔링이 저마다 다른 양상을 갖는다. 흡사 게임과 같은데, 이 것이 가상의 공간 내에서 진행되는 것이다보니 내 시야 안과 바깥을 결정하는 것도 사용자라는 것이 다르며, 보고 듣는것외에 촉감 등의 다감각 신호에 의해 정서를 일으키기도 하고 몰입을 이끌기도 한다. 그런데 책은 가상현실과 비교할 때, 관련성이 가장 적은 것 같이 느껴진다. 왜냐하면, 이야기는 작가에 의해 선형적으로 정해져 있고 독자는 페이지를 넘기면서 이야기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독자간의 스토리 체험의 차이가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편견일지도 모른다는 .. 2023. 3. 31. 수퍼빈, 재활용쓰레기를 돈으로 바꾸는 방법 산책하다가 동네 공원에 자판기처럼 생긴 순환자원 회수로봇 네프론이 보여서 한번 들여다 보았다. 파란색과 초록색 두가지가 있는데 파란색은 패트병을 수거하고 초록색은 알루미늄 캔을 수거하는 로봇이다. 로봇이라고는 하는데 안쪽은 어떻게 생겼는지 모르지만 고정된 위치에 있어서 자판기처럼 보인다. 더 가까이 가서 보니 네프론 옆에 적혀있는 '쓰레기도 돈이다. 재활용도 놀이다.' 라는 문장이 인상적이다. 이 네프론에 재활용 쓰레기, 순환자원을 넣으면 포인트로 적립하게 해주는데 연동된 앱이 수퍼빈이라는 앱이다. 수퍼빈이라는 앱을 다운 받아서 회원가입을 하고 위치정보 허용을 하게 되면 내 주변의 네프론 위치와 사용가능여부를 알 수 있다. 네프론에 캔이나 패트병을 넣고 받은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고 2000포인트가 넘으.. 2023. 3. 29. Remote place 기찻길 옆 예쁜 베이커리 카페 가끔은 차타고 어디 좀 가서 낮시간 차도 마시고 이야기도 나누고 책도 보다가 그렇게 시간을 흘려보내고 싶은 날이 있다. 교외에 있고 접근성이 좋지 않아서 차를 타고 가야 찾을만한 외진 곳에 베이커리 카페가 있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용케도 찾아오고 가끔은 앉을 자리가 없어서 빵을 담은 쟁반을 들고 서성여야 할 때가 있다. 한창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가 이슈가 되었던 적에는 경기남부에 사는 경기도민이 서울로 출퇴근할 때의 곤욕에 대한 이야기가 회자되었었다. 지하철은 서울 시내 지하로 다니니까 지하철인거고 상대적으로 땅값이 낮은 교외는 지상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지하철은 아니고 전기로 다닌다고 해서 전철로 부른다. 수원, 과천, 안양쯤 되는 경기 남부는 서울 강남이 편하고 종로 이상으로 올라가는 것은 다소 부.. 2023. 3. 27. 천안문화재단 시민문화연구기획 지원사업 단체 모집 천안 문화재단이 3월 20일-4월 14일 시민문화연구기획 지원사업 단체를 모집한다. 사업분야는 지역 문화자워 조사 연구 및 기획서 개발 3팀, 지역 문화자원 조사 연구 및 기획서 개발 2-3팀, 공공성 및 예술성 기반으로 동네 지역 이슈를 반영한 시민주체적 문화기획 프로젝트 운영 1팀 등으로 총 2천만원 예산 수준이다. 자격은 천안지역 연고를 두거나 활동하는 단체로 구성원의 50%이상 천안 거주, 활동자이어야 하며 사업기간은 11월 말까지 사업 내용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단체의 활동 이력에 관한 증빙도 필요하니 관련 안내를 잘 살피고 신청서를 작성해야 하며, 우편 또는 방문 접수로 신청할 수 있다. 천안 지역 대학생도 참여 가능하다고 하니 지역 문화기획에 관심 있는 천안지역 대학생들도 도전해볼만 하.. 2023. 3. 21. 들락날락, 부산 어린이 복합문화공간 가볼까 부산이 아동친화적 도서관을 부산시내 여러 곳에 조성한다는 계획에서 시작한 들락날락은 15분 생활권내에 도서관, 디지털 콘텐츠 체험, 문화 예술 디지털교육 및 가족 친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포부로 문을 열었다. 시가 주도하는 주요 사업으로 26년까지 200개소 조성을 하겠다는 계획이다. XR 콘텐츠에 관심이 많지만 쉽게 접하기는 디바이스 접근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를 접할 수 있는 환경이 된다면 이미 디지털 네이티브인 아이들이 종이책을 경험하는 물리적 공간에서 여러가지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창의력을 발달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미 도서관은 디지털 콘텐츠를 확보하고 대여해주거나 직접 향유할 수 있는 장비를 갖추고 관련 공간을 기존 책상과 .. 2023. 3. 21. 이전 1 2 3 4 ··· 3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