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장효진의 문화기획182

'공간혁명, 작은집' 우리 삶을 담는 곳 리타가 사는 집은 작은 빌라의 3층입니다. 아직 가족이 적기때문에 안쪽 작은 방은 침실로 쓰고 남은 방은 거실겸 서재로 씁니다. 너른 책상을 들이고 마음에 꼭드는 의자를 두개 나란히 두니 볼때마다 기분이 좋습니다. 전혀 좁다는 생각이 들지 않고 오히려 청소도 편하고 공과금도 적게 나와 마음에 듭니다. 손님들이 많이 올 때만 빼면. 오늘 MBC에서 주거문화를 다룬 다큐 을 방영했습니다. 핵가족화, 여가시간 증가, 삶의 질에 대한 인식 증가 등 기존 획일화된 아파트와 내부 인테리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보여주었습니다. 예시로 나온 가정들의 공통점을 생각해본다면, 아이들의 놀이와 학습/ 수납/ 가족 구성원들의 각자의 공간에 대한 고민과 실천입니다. 기획의도와 내용 확인하기 우리나라에서 집이라는 것은 삶의 공간.. 2014. 3. 11.
[문화예술과 가까운 생활] 오픈캐스트 시작 그동안 문화기획과 공간브랜딩 그리고 소셜마케팅과 관련한 것들에 관심을 가지면서 올해 한권쯤은 책을 내보자고 작정한 것이 작년이었습니다. 나름대로 기획해두었던 글들도 있고, 그간의 활동을 러프하게나마 정리한 포스팅으로 문화기획이나 문화마케터 관련 꿈을 가진 분들이 방문해주고 있습니다. 문화를 주제로 한 기획을 하려면 당연히 문화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하며, 경제나 정치 혹은 사회와 역사에 대한 맥락도 염두해 둔 명료한 울림이어야 하겠습니다. 책을 준비하면서 책을 필요로 하는 이들에 대해 고민해보았습니다. 얼마나 많은 분들이 이 책을 보게 될까를 생각하면 자신없는 부분도 많아서 이런저런 모임도 만들어 비슷한 꿈을 가진 분들과 이야기를 나누어 보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안으로 더 공부를 하고 주변의 정말 멋진 .. 2014. 3. 5.
캠퍼스멘토 문화마케팅 아카데미, 18일 개강 문화기획자나 문화마케터가 되고 싶다는 학생들의 메일을 자주받습니다. 나름의 방법으로 비슷한 직업들과 비교를 해보기도 하고 관련 학과와 준비해야 할 사항들에 대한 구체적인 질문을 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질문에 아는 선에서 솔직하게 회신을 드리고 있지만, 경험의 한계도 있을 수 있고 대면하지 않은 상태에서 글로 전달하는 것으로는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많을 것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며칠 전, 리타의 블로그를 보고 조금 다른 내용의 메일이 있었습니다. 문화마케터의 멘토링 강연이 있다는 소식을 전하면서 리타에게 관련 내용을 블로그에도 올려서 관심있는 학생들에게 알려주면 좋겠다는 내용이었습니다. 문화관련 업계에서 경험한 멘토가 준비한 이틀의 구체적인 강연, 멘토링은 기존 관심을 가지고 있던 대학생들의 갈증.. 2014. 3. 5.
유로디자인센터, 엣지있는 열린 문화공간 리타가 기획을 도운 한 전시가 진행되는 동안 전시기획과 관련한 작은 모임을 개설하였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영역이 아니고 전문교육도 아닌터라 호응이 없으면 어쩌나하는 걱정했습니다. 전시기획을 진행하려는 많은 문화기획자와 단체들이 있기에 그 준비의 과정을 공유하면 제가 겪었던 시행착오를 덜 수 있도록 도움이 될 수 있을거라 생각했습니다. 그렇지만 정말 의미있는 만남을 하게 되었습니다. 바로 유로디자인센터에서 전시기획과 운영을 담당하신 큐레이터분이 방문해주셨기 때문입니다. 전시를 준비하면서 고민하는 것들 이를테면 작품이해와 전시일정 등 작가와의 커뮤니케이션과 공간을 숨쉬게 만드는 전시설계, 홍보와 전시결과에 대한 점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습니다. 그 동안 제가 관심을 가졌던 공간의 .. 2014. 2. 27.
오태주작가 사진전 'The Birds Motion'을 마치며 오태주 작가 사진전 The Birds Motion 이 성남아트센터에서 성황리에 마쳤습니다. 성남아트센터의 다른 전시와 공연을 찾았던 분들이 들러주시거나 전시안내를 보고 일부러 걸음하신 분들 그리고 지인분들이 전시된 작품 하나하나에 좋은 말씀들을 많이 해주셨습니다. '그림같다', '생동감있다', '이렇게 또렷하게 새를 본 적이 없는 것 같다', '마음이 고요해지는 기분이다' 등등 나름의 감상을 전해주실 때마다 작가님만큼 기쁜 마음이었습니다. 처음 작품을 이해하려 노력하고 컨셉을 잡아 각종 인쇄/기록물을 제작하고 전시를 널리 알릴 수 있는 방법 등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결국에 전시는 작품이 어떻게 걸리는가가 아니라 관람객들이 어떻게 감상하는가에 의해 완성이 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입구에 놓.. 2014. 2.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