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콘텐츠 연구소1002

인문까페 창비야간학교,신촌서당 개강소식 인문까페 창비 야간학교와 신촌서당이 문을 엽니다. 인문학이 필요하다고 느낀다면 한권의 책이라도 깊게 읽고 느낀 바를 실행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 문을 연 피터님이 함께하는 고전 읽기 모임인 신촌서당에도 흥미를 느끼고 있었는데 이번 창비의 인문까페도 관심이 생기네요. 일상의 가벼운 에피소드부터 두툼한 인문학 고전까지, 삶을 풍요롭게 하는 쓸모 넘치는 강의. 인문학교 + 시인학교를 통해 폭넓은 교양을 쌓을 기회 이남주 교수 : 정치사상으로 본 중국 현대사 6강(매주 수요일 3/26-4/30) 박형준 시인 : 내 껍질 속의 시인을 깨우는 시간 10강(매주 목요일 2/27-6/5) 엄기호 학자 : 진보는 누구를 배제하는가 6강(매주 금요일 5/9-6/13, 수강신청 4/14시작) :창비 홈페이지 링크 h.. 2014. 3. 18.
[서울시마을공동체지원센터]커뮤니티 공간 안내서 [서울시마을공동체지원센터]커뮤니티 공간 안내서 사람들의 지혜를 나누는 모임을 담는 플랫폼, 공유공간을 나누는 플랫폼이 나온데 이어 커뮤니티 공간을 담은 안내서가 나왔습니다. 사람은 인간人間이라 사람과 사람사이에 있어야만 하는가봅니다. 그러한 공간을 만들고 그러한 공간을 찾으면 마음이 들뜨는 사람들이 본다면 너무도 반길(리타도 마찬가지인) 자료를 공유해드립니다. 아래는 커뮤니티 공간 안내서의 소개입니다.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에서는 지역에서 다양한 커뮤니티공간을 운영하시는 분들의 도움을 얻어, 마을에서 주민들과 함께하는 건강한 마을공동체를 만들고자 하는 분들에게 미약하나마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마을공간 안내서를 준비하였습니다. 커뮤니티는 "특정지역을 단위로 지역적 정체성과 사회적 연대의식을 가진 주민들.. 2014. 3. 17.
네이버 오픈캐스트 위치 변경 사전안내 네이버 오픈캐스트 위치가 변경된다는 사전 메일이 왔습니다. 리타가 오픈캐스트를 만든 지 2주도 되지 않았는데 말입니다. 우선 오픈캐스트를 별도로 보여주던 기존의 방식에서 다른 주제별 캐스트와 함께 노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또한 텍스트보다는 N스크린에서 콘텐츠들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배열하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전체 메인화면을 늘려서 하눈에 보이는 콘텐츠 수는 늘어날 수 있을 듯 합니다. 개별 캐스트들의 오픈캐스트가 네이버에서도 좋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어 바이럴마케팅에서도 주목을 받아왔지만 다른 캐스트들과 섞여 콘텐츠수가 늘어난 것으로는 단독 자리가 없어진다는 내용이 더 눈에 들어옵니다. 이 내용을 담아 보내온 안내 메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네이버 오픈캐스트 담당자입니다. 조만간 개선될 네.. 2014. 3. 16.
알려주고 싶지 않은 나만의 완소 문화공간 리타의 '문화예술과 가까운 생활' 오픈캐스트 2회 발행했습니다. [확인하러 가기] 들어가셔서 구독신청도 해주세요~ ^^ 이번에는 이라는 제목으로 발행했어요. 리타가 좋아하는 공간들을 소개하고 있는데 홍대, 신촌, 문래동, 강남의 멋진 공간들을 소개해드려요. 물론 이미 유명한 곳들도 많이있지만 그 공간만의 특징들이 있어 공간을 운영하고 문화기획을 하는데에 많은 영감을 얻었습니다. 내용은 아래와 같아요~ http://ritachang.tistory.com/310 http://ritachang.tistory.com/134 http://ritachang.tistory.com/314 http://ritachang.tistory.com/322 http://ritachang.tistory.com/331 http://.. 2014. 3. 13.
[블로그]영화리뷰 블로그, 가지의 가지가지 영화리뷰 블로그 를 소개합니다. 가지의 가지가지 http://jincom17.blog.me/ 프로필 문구 : '가지'의 가지가지한 영화 리뷰 B급 감성을 맛보시길, 냠냠냠냠 결국 중독성에 빠져듭니다. 편하게 다가오세요 ㅋㅋ 그리고 소통합시당 ㅋㅋ 글은 대중적으로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합니다잉 주요카테고리: 영화리뷰 가지의 블로그는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잘 드러나는 블로그입니다. 특히 시각적인 부분이 전체적인 톤 앤 매너와도 잘 어우러져서 강한 인상을 남깁니다. 가지는 일단 색상이나 모양같은 비주얼도 독특하지만 가지를 재료로 한 요리도 별식으로 여겨질만큼 누구나 다 알기는 하지만 또 항상 먹는 채소는 아닙니다. 가지블로그는 그와 같이 영화라는 가장 흔한 블로그 주제지만 조금은 다른 시선을 담아 영양가.. 2014. 3. 13.
광고를 이기는 콘텐츠의 비밀은? 광고를 이기는 콘텐츠의 비밀은 무엇일까요? 광고는 많은 이들에게 원하는 메시지(제품이나 서비스, 공익적인 내용)을 널리 알리기 위한 것입니다. 그런데 광고라고 하면 일단 소비자들은 경계심을 갖기 때문에 마케터는 예비고객들에게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정말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는 합니다. 블로그는 홍보나 광고의 경계를 느슨하게 하고 공감과 공유로 신뢰도가 높은 편입니다. 이러한 특성때문에 기업의 광고나 홍보보다는 블로거들의 리뷰를 더 믿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홈페이지보다 검색에 유리한 블로그를 활용해보세요. 개인이라면 1인미디어로서 블로그를 퍼스널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겠지만 수공예 예술가 등 1인기업은 블로그를 통해 작품을 알리고 나아가 작품에 관심있는 이들로 하여금 강연, .. 2014. 3. 11.
'공간혁명, 작은집' 우리 삶을 담는 곳 리타가 사는 집은 작은 빌라의 3층입니다. 아직 가족이 적기때문에 안쪽 작은 방은 침실로 쓰고 남은 방은 거실겸 서재로 씁니다. 너른 책상을 들이고 마음에 꼭드는 의자를 두개 나란히 두니 볼때마다 기분이 좋습니다. 전혀 좁다는 생각이 들지 않고 오히려 청소도 편하고 공과금도 적게 나와 마음에 듭니다. 손님들이 많이 올 때만 빼면. 오늘 MBC에서 주거문화를 다룬 다큐 을 방영했습니다. 핵가족화, 여가시간 증가, 삶의 질에 대한 인식 증가 등 기존 획일화된 아파트와 내부 인테리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보여주었습니다. 예시로 나온 가정들의 공통점을 생각해본다면, 아이들의 놀이와 학습/ 수납/ 가족 구성원들의 각자의 공간에 대한 고민과 실천입니다. 기획의도와 내용 확인하기 우리나라에서 집이라는 것은 삶의 공간.. 2014. 3. 11.
[문화예술과 가까운 생활] 오픈캐스트 시작 그동안 문화기획과 공간브랜딩 그리고 소셜마케팅과 관련한 것들에 관심을 가지면서 올해 한권쯤은 책을 내보자고 작정한 것이 작년이었습니다. 나름대로 기획해두었던 글들도 있고, 그간의 활동을 러프하게나마 정리한 포스팅으로 문화기획이나 문화마케터 관련 꿈을 가진 분들이 방문해주고 있습니다. 문화를 주제로 한 기획을 하려면 당연히 문화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하며, 경제나 정치 혹은 사회와 역사에 대한 맥락도 염두해 둔 명료한 울림이어야 하겠습니다. 책을 준비하면서 책을 필요로 하는 이들에 대해 고민해보았습니다. 얼마나 많은 분들이 이 책을 보게 될까를 생각하면 자신없는 부분도 많아서 이런저런 모임도 만들어 비슷한 꿈을 가진 분들과 이야기를 나누어 보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안으로 더 공부를 하고 주변의 정말 멋진 .. 2014. 3. 5.
반응형